Illie
HTTP. 메서드 본문
1. 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기반 프로토콜
- TCP: HTTP1.1 / HTTP2
- UDP: HTTP/3
특징
-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(request, response 구조)
- 무상태 프로토콜(스테이스레스), 비연결성
- 서버가 클라이언트 상태를 보존하지 않음 (장점: 서버 확장성 높음 - 스케일 아웃 / 단점: 클라이언트가 추가 데이터 전송)
- HTTP 메시지
- 단순함, 확장 가능
2. HTTP 메시지 구조
- start-line 시작 라인
- header 헤더
- empty line 공백 라인(CRLF)
- message body
3. 시작라인 (start-line = request-line / status line)
요청 메시지
GET /search?q=hello&hl=en HTTP/1.1
Host: www.naver.com
- request-line = method SP request-target SP HTTP-version CRLF
- HTTP 메서드 + 요청 대상 + HTTP Version
응답 메시지
HTTP/1.1 200 OK
- status-line = HTTP-version SP status-code SP reason-phrase CRLF
4. HTTP 헤더
Content-Type: text/html; charset=UTF-8
Content-Length: 3423
- header-field = field name ":" OWS field-value OWS
- field-name은 대소문자 구분 없음
- HTTP 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정보
5. HTTP 메시지 바디
<html>
<body>...</body>
</html>
- 실제 전송할 데이터
6. HTTP 메서드 종류
주요 메서드
- GET 리소스 조회
- POST 요청 데이터 처리, 주로 등록에 이용
- PUT 리소스를 대체, 해당 리소스가 없으면 생성
- PATCH 리소스 부분 변경
- DELETE 리소스 삭제
기타 메서드
- HEAD GET과 동일하지만, 메시지 부분을 제외한 상태 줄과 헤더만 반환
- OPTIONS 대상 리소스에 대한 통신 가능 옵션(메소드)을 설명 (주로 CORS에서 사용)
- CONNECT 대상 자원으로 식별되는 서버에 대한 터널을 설정
- TRACE 대상 리소스에 대한 경로를 따라 메시지 루프백
GET (리소스 조회)
- 서버에 전달하고 싶은 데이터는 query(퀴리 파라미터, 쿼리 스트링)를 통해서 전달
- 메시지 바디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지만, 지원하는 곳이 많지 않아서 권장하지 않음
POST (요청 데이터 처리)
- 메시지 바디를 통해 서버로 요청 데이터 전달
- 주로 전달된 데이터로 신규 리소스 등록, 프로세스 처리에 사용
- 새 리소스 생성(등록) / 요청 데이터 처리 / 다른 메서드로 처리 애매한 경우 (JSON으로 조회 데이터를 넘겨야 하는데, GET 메서드 불가능할 때)
PUT (리소스 대체)
- 리소스가 있으면 대체, 없으면 생성 -> 클라이언트가 리소스 위치를 알고 URI 지정
그 외 메서드
PATCH (리소스 부분 변경)
DELETE (리소스 제거)
HTTP 메서드 속성
- 안전 (Safe Method)
- 멱등 (Idempotent Method)
- 캐시가능 (Cacheable Methods)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. 헤더와 캐시(완) (0) | 2023.02.05 |
---|---|
HTTP. 상태코드 (0) | 2023.02.05 |
HTTP. 간단하게 정리1 (0) | 2023.01.24 |
CS.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어떤 일이 생기나요? (0) | 2022.07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