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CT || REACT NATIVE
REACT. JSX문법 1/3
(*ᴗ͈ˬᴗ͈)ꕤ*.゚
2022. 4. 29. 23:25
개요
기초를 단단히 다니자
리액트를 사용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코드를 이해해보자
문법1. 감싸는 요소
컴포넌트에 여러 요소가 있다면 반드시 부모 요소 하나로 감싸야 한다고 한다
왜냐하면 가상 돔에서 컴포넌트 변화를 감지해 낼 때 효율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
컴포넌트 내부는 하나의 돔 트리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규칙이 있기 때문이다
가상 돔이 조금 어려울 수 있으나
그냥 부모 요소 하나로 감싸야 되구나 하면 된다!
감싸는 방법은 (용도에 맞는) 아무 태그나 써도 되지만
아래의 방법도 가능하다
<>
...
</>
문법2. 자바스크립트 표현
JSX에서 자바스크립트 표현식을 작성하려면
JSX 내부에서 코드를 { }로 감싸면 된다
import React from 'react';
function App(){
const name = '리액트';
return (
<>
<h1>{name} 안녕!</h1>
<h2>잘 작동하니?</h2>
</>
);
}
export default App;
출력 값
리액트 안녕!
잘 작동하니?
이 방법은 정말 많이 사용한다
이걸 읽는 지금도 당신의 반경 1km내의 사람 중 한 명은 이걸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
문법3. IF문 대신 조건부 연산자
if문을 사용할 수 없지만, 삼항연산자를 조금 다른 방식으로 {중괄호}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다
기본문법
{ __조건문__ ? (__참__) : (__거짓__) }
예제는 아래와 같다
import React from 'react';
function App(){
const name = '리액트';
return (
<div>
{name === '리액트' ? (
<h1>리액트입니다.</h1>
) : (
<h1>리액트가 아닙니다.</h1>
)}
</div>
);
}
export default App;