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CT || REACT NATIVE
REACT. JSX문법 2/3
(*ᴗ͈ˬᴗ͈)ꕤ*.゚
2022. 5. 1. 21:02
개요
기초를 단단히 다니자
리액트를 사용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코드를 이해해보자
문법4 AND 연산자(&&)를 사용한 조건부 렌더링
삼항연산자를 사용해야 할 것을 &&으로 표현할 수 있다
먼저 삼항연산자를 알아보자
return <div>{name === '리액트' ? <h1>리액트입니다.</h1> : null }</div>;
&&을 알아보자
return <div>{name === '리액트' && <h1>리액트입니다.</h1>}</div>;
문법5 undefined를 렌더링하지 않기
리액트 컴포넌트에서는 함수에서 undefined만 반환하여 렌더링하는 상황을 만들면 안된다
왜냐면 오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
그래서, OR(||) 연산자를 사용해서 해당 값이 undefined일 때를 사용할 값을 지정할 수 있다
const name = undefined;
return name || '값이 undefined입니다.';
const name = undefined;
return <div>{name}</div>;
const name = undefined;
return <div>{name || '리액트'}</div>;
문법6 인라인 스타일링
스타일을 적용할 때에는 문자열 형태로 넣는 것이 아니다
객체 형태로 넣어주어야 한다
아래는 잘못된 방법이다.
<div style="color: blue">안녕하세요</div>
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해주어야 한다
<div style={{color: blue}}>안녕하세요</div>
혹은 아래와 같은 방법도 가능하다
const style = {color: blue}
<div style={style}>안녕하세요</div>
아맞다
그리고 카멜방식을 써줘야한다
background-color -> backgroundColor
font-size -> fontSize
이런식으로!
느낀 점
리액트가 명확해지는 기분이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