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/자바스크립트

오답노트 6차

(*ᴗ͈ˬᴗ͈)ꕤ*.゚ 2022. 3. 7. 14:13

오답1. 결과 값 작성

  {
    const str = "자바스크립트(javascript) 공부";

    const text1 = str.search(/javascript/);
    const text2 = str.search(/jquery/);

    document.write(text1);
    document.write(text2);
  }

정답: 7, -1

 

정규식 표현을 쓴 search함수이다

나는 search함수가 정말 어디있는지 찾아주는 함수인줄 알고 그냥 javascript라고 썼는데...

위치를 찾는 함수였다

 

오답2. 결과 값 작성

  {
    const str = "자바스크립트(javascript) 공부";

    const text = str.slice(-14, -4);

    document.write(text);
  }

정답: javascript

 

slice(시작위치, 마지막위치)

음수는 끝에서부터...!

 

오답3. 결과 값 작성

  {
    const str = "자바스크립트(javascript) 공부";

    const text1 = str.substring(5,1);
    const text2 = str.substr(4,2);

    document.write(text1);
    document.write(text2);
  }

정답: 바스크립, 립트

 

substring 함수는 문자열을 자르는 함수이고, 인자 중 작은 값이 시작위치가 된다substr 함수는 특정 위치에서 시작하여 특정 문자 수 만큼의 문자들을 반환한다

 

순간 substring과 substr가 무엇인지 생각이 나지 않아서 틀렸다

 

 

오답4. 화살표함수(익명함수)로 변경하기

  {
    function func(str){
      document.write(str);
    }
    func(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");
  }
 const func = function() => {
   document.write();
    }
func();

깜빡하고 앞에 const를 안썼다

 

오답5. 결과 값 작성

  {
    function func(){
      let i = 10, j = 10, k = 30;
      i /= j;
      j -= i;
      k %= j;

      document.write(i);
      document.write(j);
      document.write(k);
    }
    func();
  }

정답: 1,9,3

 

풀이:

기본 값 (i = 10, j = 10, k = 30)

 

 1. i/j를 해 준 값을 i에 업데이트 한다

10 / 10 = 1

변경1 (i = 1, j = 10, k = 30)

 

2. j-i한 값을 j에 업데이트 한다10 - 1 = 9

변경2 (i = 1, j = 9, k = 30)

 

3. k에서 j를 나눈 나머지 값을 k에 업데이트 한다

30 / 9 = 3...3

변경3 (i = 1, j = 9, k = 3)

 

나는 인자 값을 업데이트를 안해주어서 틀렸다